‘탕핑’에서 ‘미신’으로…중국 청년들이 별자리를 보는 이유는?
최근 중국에서 점성술과 운세 앱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들이 별자리와 타로 카드, 행운의 팔찌 같은 비과학적인 요소에 의지하게 된 배경에는 경제적 불안과 사회적 절망이 깊이 자리하고 있어요.
청년 실업률이 20%에 달하고, 근무 환경은 열악하며, 미래에 대한 희망은 줄어드는 상황에서 점성술은 그들에게 유일한 ‘심리적 탈출구’가 되고 있습니다.
희망 없는 현실, 중국 청년들은 어디로 향하나
중국 정부가 2023년 5%의 경제 성장률을 발표했지만, 청년층에게는 그 수치가 체감되지 않고 있어요.
특히 음식점과 카페 등 요식업계에서 300만 곳이 문을 닫았다는 통계는, 취업시장에 대한 불안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일자리 부족뿐 아니라, 얻더라도 낮은 임금과 긴 근로시간, 소진된 워라밸… 결국 “왜 이렇게 살아야 하지?”라는 회의가 고개를 들게 됩니다.
그 틈을 파고든 것이 바로 ‘미신’이에요. 📉
운세 앱과 미신 소비의 폭발적 증가 📱✨
이코노미스트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한 점성술 앱은 애플 앱스토어에서 1550만 건 이상 다운로드됐고, 월간 이용자 수는 120만 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넷이즈 조사에 따르면, 30세 미만의 중국인 중 무려 80%가 운세를 본 적이 있다고 해요.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에서도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베이징에는 음료와 함께 운세를 볼 수 있는 카페가 인기를 끌고 있고, ‘18개 구슬 팔찌’ 같은 행운 아이템도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탕핑’과 ‘란웨이와’…절망 속 새로운 언어들
‘탕핑(躺平)’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며 조용히 저항하는 태도를 말하고,
‘란웨이와(爛尾娃)’는 도중에 포기하고 주저앉은 청년들을 일컫는 말이에요.
이러한 신조어는 단순한 유행어가 아니라, 청년들의 집단적인 무기력감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비과학적이라고 여겨졌던 미신이 오히려 이들에게는 현실을 버티게 해주는 작은 도구가 되고 있는 것이죠. 😔
당국은 미신 단속, 청년들은 의지…엇갈리는 시선
중국 당국은 여전히 ‘봉건적 미신’을 타파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중앙당교는 미신에 빠진 공산당원에게 경고장을 날리고 있고, 지방정부는 종이돈 태우기 풍속을 단속하는 등 분위기 정비에 나섰어요.
하지만 미신에 기대는 청년들은 단순히 신앙심이 아니라, 정신적인 안정과 희망을 찾고자 하는 것이고, 이마저 막는다면 더 큰 사회적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미신은 위험한가, 아니면 새로운 위로인가?
중국사회과학원의 천진궈 교수는 “이런 미신적 흐름이 청년들에게는 압력 완화 밸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즉, 사회가 줄 수 없는 위안을 개인이 점성술이나 팔찌, 운세에서 찾는다는 것이죠.
물론 이것이 장기적인 해결책은 아니에요.
하지만 현실에 답이 보이지 않을 때, 별자리와 타로에서 ‘무언가의 방향’을 찾고자 하는 심리는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사회 현상이 되었습니다. 🌌
'생활속궁금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레만 잡는 회사 아녔어?”… 세스코, 뜻밖의 공기청정기로 ‘대박’ 👀 (5) | 2025.04.07 |
---|---|
트럼프와 머스크, 정부개편 드림팀? 곧 해체 위기!? (0) | 2025.04.07 |
대만의 모든 매력, 서울에서 만나는 ‘2025 타이완 관광 로드쇼’ ✨ (4) | 2025.04.06 |
4:3 간헐적 단식, 진짜 효과 있을까? 🕓🍽 (1) | 2025.04.06 |
챗GPT의 지브리 화풍 이미지, 저작권 침해일까? 일본 정부의 입장은? 🖼️ (1)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