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속 건강정보

눈이 건조하고 불편할때 안구건조증 의심해보세요

by nomadenature 2025. 5. 25.
반응형

안구건조증, 단순한 건조함이 아닌 과학적 질환입니다

눈이 건조하고 시리다 느껴본 적 있으신가요?
단순한 불편함으로 넘기기엔 안구건조증은 현대인에게 매우 흔하면서도 복합적인 질환입니다.
증상은 다양하고, 원인은 생각보다 과학적이고 깊습니다.
이 글에서는 숫자와 데이터, 의료기관 분석을 바탕으로 안구건조증의 진짜 원인과 증상을 짚어봅니다.

당신의 눈이 마르는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적어서 생기는 질환이 아닙니다.
실제 환자의 80% 이상은 눈물의 기름층이 약해져 지속적으로 눈물이 증발되면서 생기는 '과다증발형 안구건조증'입니다.
마이봄샘이라는 눈꺼풀 피지샘의 기능 저하가 핵심 원인이며,
전자기기 과다 사용, 대기오염, 냉난방기, 노화, 콘택트렌즈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국내 환자 증가 추세, 더는 남의 일이 아닙니다

대한안과학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안구건조증 환자는 약 250만 명,
10년 전보다 30% 이상 증가했습니다.

전체 성인의 약 30%가 증상을 겪고 있으며,
특히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습니다.

"20대도 76.8%가 전자기기 사용으로 안구건조증 위험군에 포함된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과학적으로 밝혀진 안구건조증 주요 원인 TOP7 

주요 원인 발생 비육 특징 요약
전자기기 장시간 사용 73.4% 눈 깜빡임 감소, 피로 누적
미세먼지·공해 56.4% 눈물막 손상 가속화
냉난방기 등 건조 환경 53.0% 습도 저하로 눈물 증발 증가
노화 49.5% 피지분비 감소, 마이봄샘 퇴화
콘택트렌즈 착용 16.8% 기계적 자극, 눈물막 불안정
레이저 시력교정술 16.6% 신경손상으로 눈물 분비 감소
질병·약물 복용 7.3% 쇼그렌, 갑상선, 수면제 등

마이봄샘 기능 저하로 인한 과다증발형
전체 안구건조증의 80%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대표 증상, 단순 건조감 그 이상입니다

안구건조증은 다양한 불편감을 동반하는 복합 증상입니다.

  • 눈의 뻑뻑함, 건조감: 전체 환자의 90% 이상 경험
  • 이물감(모래 낀 듯한 느낌): 80% 이상
  • 눈 시림, 충혈, 통증, 시야 흐림: 60~70%
  • 오히려 눈물이 줄줄 흐르는 역설적 증상: 30%
  • 두통, 눈부심, 피로감: 40~50%
  • 콘택트렌즈 불편감: 30~40%

"눈이 너무 시고 자꾸 감기는데, 병원에서는 눈물이 부족하다고 하지 않아요.
오히려 눈물이 줄줄 흐릅니다."
이 역시 안구건조증의 전형적 증상입니다.


계절, 환경, 질병이 함께 만드는 위험요소

봄, 겨울, 여름은 안구건조증 환자 급증 시기입니다.
3월에는 환자 수가 전월 대비 11.1% 증가한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음 요인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 황사, 미세먼지
  • 냉·난방기 가동
  • 쇼그렌증후군, 루프스
  • 비타민A 결핍, 당뇨병, 갑상선 질환
  • 항히스타민제, 피임약, 항우울제 등 약물 복용


진단부터 치료까지, 핵심 가이드

안구건조증은 정확한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병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합니다.

  • 눈물막 파괴시간 검사 (TBUT)
  • 눈물 분비량 측정 (Schirmer test)
  • 마이봄샘 상태 촬영 검사

치료 방법

  • 인공눈물, 수분 점안제
  • 항염증제 점안
  • 마이봄샘 온열 마사지, IPL 시술
  • 안구청결제, 온찜질

관리 요령

  • 실내 습도 40~60% 유지
  • 20-20-20 법칙: 20분마다 20초간 6m 떨어진 곳 보기
  • 휴식 시 온찜질 + 눈꺼풀 세정
  • 렌즈 착용 시간 최소화


안구건조증 시장도 확대 중 

구분 수치 및 예측
2024년 글로벌 시장 규모 약 69억 8천만 달러
2037년 예측 규모 183억 달러 이상
연평균 성장률 7.7% 수준
글로벌 치료비용(2027년까지) 66억 달러 이상 추정

이는 전 세계적으로 안구건조증이 만성질환화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결론: 당신의 눈을 지키는 첫걸음은 ‘인식’입니다

안구건조증은
건조함이 아니라 눈물막이 깨지고 있는 과정입니다.

그 배경엔 피지선 기능 저하, 전자기기 사용, 환경 변화 등
복합적인 원인이 숨어 있습니다.

이제는 증상 초기에 가볍게 넘기지 마세요.
정확한 진단과 꾸준한 관리가 평생의 눈 건강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하루 10분만 눈을 쉬게 해주세요.
그것이 당신 눈의 ‘젊음’을 지켜주는 첫 습관입니다.

 

반응형